등산용품 구입요령
*필수적 등산용품
등산용품은 산행일정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이나 산책삼아 하는 정도라면 등산화 등산복(조끼 바지 윈드자켓) 스카프 수통 배낭 모자정도면 가능하다. 그러나 일정이 길거나 동절기 산행때는 피켈 천막 면장갑 헤드랜턴 코펠 버너 텐트 침낭 세면도구 등을 챙겨야 한다.
*등산화·등산조끼
등산화는 헝겊소재와 가죽소재로 나뉜다. 예전에는 가죽소재가 선호됐지만 최근에는 헝겊소재의 인기가 높다. 헝겊이라 가벼운데다가 방수원단인 고어텍스를 이용한 제품이 나오면서 헝겊소재의 단점인 방수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이다.
일반헝겊 등산화는 3만∼13만원, 방수헝겊 등산화는 11만∼20만원, 가죽등산화는 15만∼25만원선이다.
등산조끼는 남방이나 티셔츠를 입은 위에 걸친다. 등산조끼에는 적게는 2개, 많게는 10개 이상의 주머니가 있다.
주머니는 핸드폰용 주머니, 카메라 주머니 등 용도가 다양해서 산에 오를 때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소 5∼6개 짜리를고르는 것이 좋다.
*윈드자켓·바지
등산할 때는 정상의 날씨를 가늠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심한 산에서는 바람을 막아줄 윈드자켓이 꼭 필요하다. 윈드자켓은 방풍기능만 되는 것과 방수기능까지 갖춘 것 등 다양하다.
방풍기능만 있는 자켓은 5만∼13만원, 고어텍스원단을 사용해 방풍기능외에 방수기능까지 보강한 제품은13만∼40만원선이다.
그러나 웬만한 일반자켓은 기본적 방수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굳이 고가제품을 구입할 필요는 없다.
산에 오를때 보통 청바지를 입고가는 경우가 많은데, 청바지와 면바지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청바지와 면바지는 흡습성이 좋지만 땀이 잘 마르지 않아 옷의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며,
땀을 먹을수록 옷감이 뻣뻣해져서 피부에 상처를 주기 쉽다. 따라서 등산용 바지로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나 스판바지가 적당하다.
스판바지는 면과 합성섬유를 혼방한 것으로 땀이 쉽게 마르며 착용감이 좋아 몸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가격대는 8만∼15만원선.
*등산양말
일반양말과 달리 등산양말은 발바닥부분이 두껍고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처리되어 있어 오래 걸을때 발의 피로를 덜어주도록 만들어져 있다. 6,000∼8,000원대의 면제품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방수기능이 보강된 제품이 1만2,000∼1만3,000원선에서 판매되고 있다.
긴바지를 입을 경우에는 발목까지 오는 양말을 신으면 되고, 짧은 바지를 입을때는 무릎까지오는 것을 신으면 된다.
*등산화 선택하기
산을 다니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구입하는 것이 등산화이다. 등산화는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로 만들어 진다. 내마모성의 강함이 발을 보호하고 오랜 걸음으로 부드러움도 동시에 갖는다.
구입 할 때는 0.5~10mm 정도 큰 것을 구입하는데 어떤 제품은 미리 사이즈 보다 크게 제작하는 회사도 있다. 또 등산화에는 워킹용, 빙벽용 등으로 분류되어 산행목적에 맞게 전문성을 갖춰 제작하고 있다.
워킹용은 대부분 천이나 가죽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런 등산화는 구입할 때는 단단하지만 산행을 하다보면 부드럽게 구부러진다.
구부러지는 곳은 엄지발가락 부위에서 꺽어져야 좋다. 발등이 구부러지면 발이 아파 장시간 워킹을 불가능하게 한다.
구입시 신발을 신고 뒷꿈치를 들어 엄지발가락 부위에서 등산화가 꺽이는 것을 선택하며 이때 발등부위를 누르지 않는지 확인한다.
워킹용 등산화는 창이 너무 단단하지 않아야 한다. 육산이 많은 우리나라지만 바위길이 종종 있으므로 창이 부드러운 것은 미끄러지지 않는 반면 단단한 것은 내마모성은 강하나 미끄러지기 쉽다.
창이 무르면 A/S를 신속하게 해주므로 부드러운 창의 워킹용을 구입한다. 창의 두께는 산행의 피로를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너무 얇으면 쉬이 피로해지고 장시간 걸으면 무릎에 무리가 온다. 구입시 신어 보아 탄력이 없으면 중창이나 깔창을 깔아 두께를 보완 한 후 사용하면 좋다.
소비자들이 등산화에 불편을 가장 많이 호소하는 것은 발가락이 앞부리에 닿아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와 발바닥의 통증, 무릎 통증, 등산화 무게와 부드러움에 대한 불평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