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 관련 자료

등산 스틱 사용법

진주영심 2009. 8. 7. 12:14

등산용 스틱 선택과 사용방법은?


Q

금년 첫 추위 때 백두대간 상의 단목령-한계령 구간을 종주했습니다. 단목령에서 점봉산을 향해 오르던 중 신설이 내려 산길이 매우 미끄러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면 안정된 보행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등산용 스틱 사용요령과 구입시 선택요령도 알고 싶습니다.



A

보행중 등산용 스틱의 필요성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스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보행보조구로서의 역할 때문입니다. 그래서 스틱을 제3의 다리라고도 부릅니다.

산에서 장거리 이동할 때 스틱을 사용하면 짐의 무게와 체중을 스틱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보행속도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파른 경사를 오르내릴 때 무릎관절과 척추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부상을 방지해줄 수 있으며, 지형이 미끄럽거나 불안한 곳에서도 몸의 균형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스틱을 사용하면 과연 어느 정도의 하중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어 왔습니다. 얼마 전 미국의 한 연구기관이 그 효과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한 스텝을 옮길 때마다 우리 몸에 가해지는 충격의 4% 정도를 등산용 스틱이 흡수한다고 합니다. 4%라는 수치는 매우 적어 보이나 장시간 동안 계속해서 감소시켜 준다면 결코 가볍게 보아 넘길 수 없는 수치입니다.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면 여러 이점이 있지만, 제대로 활용하기까지에는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두 개의 스틱을 양손에 들고 고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숙련시키지 않는다면 보행할 때 오히려 거추장스러운 존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스틱을 잘 사용할 수 있는 요령은 첫째, 스틱의 길이를 자신의 신장에 알맞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고, 때때로 지형의 기복에 따라 길이를 재조정해야 합니다. 평탄한 지형에서 손잡이를 잡을 때는 팔꿈치가 직각이 되도록 길이를 유지하는데, 하산시에는 이보다 조금 더 길게, 오를 때는 조금 짧게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기본요령입니다.

그러나 기복이 자주 바뀌는 산중에서 그 때마다 길이를 조정하는 것은 번거로울 때도 있습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몇몇 제품 중에는 이런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스틱 중간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길이 조절 없이 손잡이를 바꿔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도 있습니다.

둘째, 스틱을 잡을 때는 손을 스트랩(손목걸이) 밑에서부터 위로 통과시켜 손목걸이와 그립을 함께 잡는 것이 나무나 바위 등을 손으로 잡을 때 편리합니다.

셋째, 경사를 오르내릴 때의 요령은 두 개의 스틱을 진행방향 앞쪽에 동시에 놓고 당기거나, 한쪽은 앞에 놓고 당기거나 나머지 하나는 뒤에 놓고 지면을 미는 자세의 동작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심한 경사를 내려갈 때는 스틱을 앞쪽 진행방향에 멀리 놓고 스틱을 밀듯이 짚어 충격을 흡수시켜야하며 그립의 머리부분을 잡고 동작하는 것이 여러 모로 편리합니다.

넷째, 스틱은 2단 짜리 보다는 3단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이 배낭에 부착해 휴대하기 좋습니다. 길이가 길 경우는 버스나 전철 등에서 주변 사람의 옷을 찢거나 부상을 입힐 수도 있습니다.

배낭에 휴대할 때는 반드시 팁(tip)을 감쌀 수 있는 덮개를 씌워야 하며, 스틱의 손잡이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휴대해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배려해야 합니다.

최근에 보급되고 있는 신제품 중에는 충격흡수용 스프링이 장착된 것도 있습니다. 지면과 접촉하는 팁은 고강도 소재를 채택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팁의 강도는 외국산과 국산이 현저한 차이를 보입니다. 외제의 경우는 여러 번 사용해도 마모가 덜 되는데, 국산의 경우는 바위를 몇 번만 짚어도 심하게 마모되는 제품이 있습니다.

적설등반시 스틱이 눈 속에 깊게 빠지거나 땅속 깊게 박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바스켓은 신설에서는 지름이 8~10cm 정도의 대형을, 일반산행에서는 소형을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사태로 매몰된 조난자를 수색할 때는 바스켓을 빼낸 후 탐침용으로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스틱을 구입할 때 유의할 점은 회전식 잠금장치의 견고성과 스트랩의 소재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스트랩의 소재가 뻣뻣하면 손목이 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립의 소재는 딱딱하고 미끄러운 플라스틱은 눈이나 비에 젖을 경우 손이 미끄러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립의 소재로 적합한 것은 나무로 된 코르크가 우수하며, 발포수지로 된 소재는 보온성이 좋습니다.

또한 스틱은 가볍고 탄력이 좋은 카본파이버나 티타늄 소재의 것이 좋습니다만, 비싼 것이 단점이기도 합니다.

'등산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산행법  (0) 2009.08.07
지리산 109개 등산로  (0) 2009.08.07
당신에 산행급수는  (0) 2009.08.07
등산 의 운동효과  (0) 2009.08.07
산행 길잡이  (0) 200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