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나물 종류및 건강 전령사인 봄나물은
대형마트 중심에 자리 잡은 봄의 건강 전령사 ‘봄나물’.
산천에 흔히 나는 나물은 언제나 귀한 식재료이자 약으로 쓰였다.
봄 내음이 가득 담긴 봄나물은 진한 향기와 산뜻한 맛으로
우리 조상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었다.
[사진출처=123RF]
▶혹한을 이겨낸 강인한 생명력 ‘냉이’=
봄이 오면 생각나는 나물 중에 향긋한 냉이를 빼놓을 수 없다.
‘리얼푸드’에 따르면 냉이는
가을에 싹이 돋아 작고 여린 잎으로 겨울의 혹한을 견디며 맛과 향이 깊어진다.
봄은 냉이의 강인한 생명력이 폭발하는 시기다.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나 3월의 냉이가 가장 맛이 좋다.
향은 진하고 너무 억제지고 않다. 4월이 지나면 꽃대를 올려 번식을 준비하는데
향이 거의 없고 질겨진다. 냉이는 예부터 약효가 뛰어나다고 알려졌다.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에서는 눈의 건강과 혈액순환,
간에 이롭다고 기록돼 있다.
실제 냉이는 눈에 좋은 비타민A와 피로해소에 좋은 비타민B1,
활력을 주는 비타민C를 비롯,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다.
단백질은 채소 중 냉이에 가장 많이 들어있다. 또 칼슘은 우유보다 많이 들어있다.
칼륨과 철분 등 무기질도 풍부하다. 한의학에서는 원기회복과 소화, 이뇨작용,
지혈에도 효과가 있어 약재로 쓴다.
냉이는 누런 잎을 떼고 흙을 털어낸 후 물에 씻는데
풋내가 나지 않게 살살 주물러 씻어야 한다. 쓴맛이 심하면 삶아서
물에 담가두면 쓴맛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사진출처=123RF]
▶입에 쓰면 몸에 더 좋은 ‘씀바귀ㆍ민들레’=
“입에 쓰면 몸에 좋다”라는 말은 바로 봄나물인 씀바귀를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씀바귀는 노란 꽃이 피는 식물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다.
줄기를 꺾으면 쓴맛이 강한 흰 진액이 나온다.
이른 봄에 여린 잎과 뿌리를 캐어 먹는데 여린 잎은 맛이 달다.
씀바귀는 주로 무쳐먹거나 전으로 부쳐 먹는다.
적은 열량에 비해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에도 그만이다.
쓴맛이 강해 먹기 힘들다면 배즙처럼 단 맛을 더하거나 삶아 물에 담가
쓴맛을 뺀 후 요리하면 된다.
씀바귀는 열을 내리는 작용을 해 ‘봄에 많이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말이 전해진다. 또 소화불량과 염증, 골절 등에도 약으로 쓰인다.
민들레 역시 줄기에서 하얀 진액이 나온다.
맛도 쓴 것이 씀바귀와 여러모로 비슷하다.
민들레는 여린 잎을 날로 먹으면 좋다.
다른 채소들과 샐러드를 하거나 쌈에 넣어 먹으면 입맛도 돌아온다고 한다.
최근에는 민들레의 다양한 약효가 있다고 해 주목을 받고 있다.
차로 마시거나 즙, 가루로도 먹는데 해열, 위염, 위장 건강, 소화불량 및
변비개선에 좋다고 한다.
[사진출처=123RF]
▶건강한 매운맛 ‘달래’=
달래는 양파처럼 뿌리 바로 윗부분에 둥근 줄기가 있다.
양파에 비해 훨씬 작은 비늘줄기는 클 수록 맛이 강하다.
마늘에 있는 성분인 알리인과 일라신이 있어 쏘는 듯한 매운맛이 난다.
때문에 피를 맑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빈혈과 불면증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칼슘과 비타민A가 풍부하다. 비타민C도 많아 춘곤증에 좋다.
attom@heraldcorp.com
attom@heraldcorp.com
봄나물 종류와 사진
취나물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먹습니다.
꿩의다리(꿩다리)
삶아서 무쳐 먹으면 향긋합니다.
윤판나물
많이 먹으면 배탈이납니다.
삶아서 하루 정도 물에 우려낸 후 무쳐 먹습니다. 기침, 폐결핵
당개지치(지장나물)
핵산이 풍부한 고급나물이고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식욕부진
벌깨덩굴(줄나물, 깻잎나물)
깊은 산골짜기에 많으며 삶아서 무치면 아주 맛이 좋습니다.
비슷한데 색갈이 검고 잎이 두꺼운것은 광대수염이니 뜯지 마세요.
나비나물(콩대가리)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곤대서리
생으로 쌈을 싸 먹어도 되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병풍취
아주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취나물의 여왕이라 할 정도로 향이 좋으며
쌔으로 쌈을 싸서 먹습니다.
참당귀
생으로 쌈을 싸 먹으며 향이 아주 좋습니다.(뿌리는 한약재로 쓰입니다)
우산나물(우산대)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단풍취(조타파리)
산에가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취나물이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고비(귀리)
머리부분은 때어내고 삶아서 말린 후 묵나물로 먹습니다.
쥐오줌풀
산 길 주위에 많으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애기참반디(밤내이)
참나물이며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참나물
깊은 산 골짜기에 많으며 나물중에서 최고로 맛있으며 생으로 쌈을 싸 먹습니다.
홀아비꽃대(놋젖가치)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 무쳐 먹습니다.(대궁이는 두릅 맛 비슷합니다)
돌나물
돋나물이라고도 하며 나물로 무치기도 하고 생으로 김치를 담아 먹기도 한다
혼닙나물(화살나무)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순하고 맛과 향이 좋다
물냉이
논두렁이나 개천 근처에 많이 자란다. 냉이보다 잎이 잘잘하고 많이 달린다
떡쑥
양지바른 풀밭이면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나물로는 적합지 않고 주로 쑥떡용으로 식용한다
엄나무
엄나무는 험상궂은 가시가 줄기에 빈틈없이 나있는 나무로 해동목(海桐木).
자추목(刺秋木)이라고도 한다.
참나물
취나물 비슷한데 털이 없고 기름때가 반질거린다
기린초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산속 물가에 많이 자생한다
담배나물(망초)
우리 주변에 가장 많은 풀이 망초다. 공원과 아파트 정원 어디서도 잘 자란다.
양념을 잘해 나물로 무치면 아주 맛이 좋다
소리쟁이
물가나 풀밭 어디에도 흔한 풀이다,
나물로도 먹고 국으로도 사용되는데 맛은 별로다
둥굴레나물
깊은 산속 큰나무 밑에 잘 자란다.
뿌리는 약초로도 쓰이고 둘굴레차로도 많이 이용된다
취나물
산나물의 으뜸이다. 요즘은 재배도 많이 한다
도라지싹(길경)
순하고 맛있는 나물이다.
더덕
잎과 줄기는 나물로, 뿌리는 약재나 나물로 귀하게 이용된다.
깊은 산속 계류가에 자생한다
씀바귀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쓴나물이기 때문에 많이 우려야 한다
두리풀(용강나물)
한약초로는 잎과 뿌리를 '세신,이라 한다.
향이 독특하여 나물로도 고급에 속한다꽃이 요강이나 족두리를 닮았다.
깊은 산속에 자란다
애기나리
산속 큰 나무 밑 음지에 잘 자란다. 둥굴레 비슷한데 잎이 작다.
대체로 군락을 이루어 산다
묵나물(다래순)
깊은 산속 덤불로 자란다.
강원도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맛과 향이 매우 좋다
질경이
풀밭이면 어디서도 잘 자라는 잡초에 속한다.
나물로 먹을 수 있으나 좀 질긴 편이어서 데쳐서 다시 국을 끊이면 좋다
보리뱅이(뽀리뱅이)
우리가 어릴 때는 없던 풀이다. 해방 뒤 들어온 외래종이다.
뽀얀 진이 나기는 해도 순한 나물이다. 집 근처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냉이 비슷한데 잎이 넓고 크며 붉은색을 띠고 진이 난다
시금치나물(별꽃풀)
물가나 습한 곳에 많이 난다. 흰꽃이 별같아서 별꽃풀이다.
시금치 같이 순하고 맛이 좋아 권하고 싶다
방아나물
깻닢 비슷하기도 하고 취나물 비슷도 한데, 박하 비슷한 독특한 냄새가 매우 강하다
그래서 생선조리할 때 넣으면 비린내가 싹 가신다
다닥개갓냉이
양지바른 풀밭에 흔하게 자란다. 나물로 무치면 아삭아삭한 맛이 제법이다
고들빼기
씀바귀의 일종으로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진이 많아 쓴 편이다
병아리고비
고사리의 작은 모양으로 이른봄 고사리보다 먼저 나온다
산계곡이나 음지에 자란다. 봄나물의 으뜸이다
깨나물(오리방풀)
깻닢같이 생겨 깨나물이다. 야산 조금 높은 곳 양지쪽에 자생한다
고추나물
이와 비슷한 풀로 '물레나물' 과 '용담초' 가 있다.
봄나물로 권하고 싶은 좋은 나물이다. 약간 습한 풀밭에 잘 자란다
미역취
취나물과에 속한다. 약간 큰산에 자라는 나물이다. 맛이 아주 좋다
콩제비꽃
제비꽃 중에 나물로 먹는 것이 두세 종 된다.
대개 식용은 잎이 하트형으로 둥굴다. 집 근처에 많이 자생한다
양지꽃
이른봄 가장 먼저 나오는 풀이다. 양지바른 언덕에 많이 산다
잔대(겨르기싹)
꺾으면 진이 나는데 뿌리를 생으로 먹기도 한다
망제비꽃
물가나 습한 음지에 잘 자란다. 여리고 순해서 나물로 괜찮다
짚신나물
개굴가나 습한 땅에 자란다. 여름에 노란 꽃이 핀다
조개나물
제비꽃의 일종인데 황해도에서는 조개나물이라 부른다.
깊은 산속 낙옆속에 자란다.흰털이 많이 나며 연하다. 고급나물에 속한다
가락지나물
양지꽃이나 뱀딸기를 닮았다. 계류가나 습한 땅에 잘 자란다
당귀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큰산 계곡에 난다. 뿌리는 한약재 '당귀'로 쓰인다
청미래덩쿨
줄기나 가시가 억센 편이어서 어린순만 먹을 수 있다.
가을에 빨간 열매를 장식으로 많이 이용된다
까치수영
까치수염이라고도 하는데 흰꽃이 수염처럼 늘어져 피기 때문이다
이 풀은 삶으면 초록색이 갈색으로 변해 시각성이 떨어진다
층층이둥굴레
약간 습한 낮은 땅에 자란다
개갓냉이
꼭 전라도 갓을 닮았다. 자연상태의 갓이다. 맛이 일품이다
궁궁이(천궁)
냄새가 톡 쏜다. 잎에서도 뿌리 '당귀'처럼 짙은 한약냄새가 특징이다
메꽃
흰 뿌리와 함께 먹는 순한 풀이다. 풀밭이면 어디서도 자란다
좀단풍취
고산식물에 속한다. 높은 산 큰나무 밑 낙엽 속에 자란다
갈퀴나물
풀밭에 흔하게 볼 수 있는 풀이다. 잎이 큰 큰갈퀴와 작은 갈퀴가 있다.
사진은 작은 갈퀴다
고비나물
고비가 활짝 핀 모습이다. 깊은 산 계류가에 많이 난다
좁쌀풀 나물
풀밭에 군락을 이루어 무더기로 산다
멸구나물
귀한 나물이다. 들풀은 아니고 산속 양지쪽에 산다
꼬리솔나물
층층이둥굴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작다. 양지를 좋아한다
청가시나물
맛있는 나물에 속한다. 잎과 순이 작아 뜯기가 힘들다. 가시가 많고 사납다
쑥부쟁이
큰산나물의 대표다. 요즘은 가을에 보라색 꽃이 좋아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식재한다
구기자순
열매 구기자차로 먹는 구기자 나무다. 나물로도 귀하다
산머루
야산에 많이 자란다. 개머루가 달린다.
곰취
취나물중의 으뜸,
곰취는 깨끗한 물에 씻어서 날로 먹는것이 가장 향이 좋으며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싸서 된장을 조금 발라 찍어 먹으면 신선이 따로 없음을 느끼게
해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각시취
우리강산의 산천에서 나는 풀은 새순일 때는 독초까지도
독이 없을 정도로 깨끗하고 얌전하다
고사리
고추대나물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병풍취
누리대
미역취
삿갓나물
원추리
엉겅퀴
명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