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스램프(gas lamp,lantern)
부탄,프로판 등의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한 휴대용 조명구.초,건전지 등을 사용하는 랜턴보다 높은 광도를 얻을 수 있어 막영생활에 많이 사용 되고 있으며,요즈음에는 새로 개발된 상품중에 머리부분을 바로 끼워 가 스 버너와 겸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각반(gaiters,spats)
고산 또는 적설기 등반에서 눈이 등산화속으로 들어 가는 것을 막기 위 해 사용하는 것으로,스패츠라고도 한다.처음에는 붕대와 같이 다리에 감아서 사용하였다. 형태는 등산화 앞부분의 고리에 고정기키며 뒷부분에는 사용하기에 편 리하도록 지퍼가 달려 있으며,구두창밑으로 끈과 고무밴드 또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게이터가 위로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종류로는 간단한 산행에서 사용되는 길이가 짧은 발목용 게이터 (short gaiter),적설기 등반이나 니커바지를 입었을때 사용하는 긴 게 이터(long gaiter),그리고 칼멘(Carman Peter)이 고안한 등산회 밑창을 제외하고 윗부분 전체를 덮는 슈퍼게이터가 있다.요즈음에 와서는 플라스 틱 등산화의 출현으로 긴게이터가 오버슈즈를 대신하게 되었고,보온이 잘 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주재료는 캔버스천,나이론,고어택스 등이다.그중 캔버스천은 질기다는 점에서 가장 뛰어나나,젖으면 곧 얼어버리는 단점이 있고,나일론은 방습 성이 낮기때문에 방습성과 통기성이 뛰어난 고어택스가 요즈음에 와서는 가장 인기가 있다.
3.개인장비
산행시 각 개인이 휴대하여야 하는 장비로 공동장비에 대한 말. 등산 화,피켈,헬멧,장갑,모자,베낭,해머,게이터,폰초 등이 이에 해당한다.
4.고글(goggle,sonnenbrille)
눈보라,먼지,자외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위한 안경. 일반적으로 스키에서 많이 사용되는 일안식 안경을 말한다.특히 2안식으로 휴대하기 에 편리하게 만든 것을 클라이머 고글(climber goggle)이라 한다. 빙하나 설면에서의 행동시 고글을 착용하지 않으면 설맹에 걸리기 쉬우 며빙벽 등반시 작은 얼음조각이 눌을 상하게 할 수도 있으므로 필수적인 장비다.그러나 주위가 막혀 있으므로 흐려지기 쉽고,금속테일 경우 살갛 과의 접촉면이 동상에 걸리는 수가 있으므로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 다. 요즈음에 와서는 선그라스가 보편화되었으나 이는 넘어지는 경우 잃어 버리기 쉬우므로 안경다리에 고무밴드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5.고도계
해면,즉 해발고도 0 m 기준면에서 고도를 측정하는 계기. 기압,음파에 의한 3각측정 전파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압 고도 계가 사용되고 있다.이것은 기압과 고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것으로 기압계를 응용한 것이다. 이는 히말라야와 같은 고산등반시 꼭 필요한 것으로 산의 고도를 알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각 고도에서의 인체의 변화 및 기상조건 등을 연구 하는 데도중요한 것이다.지도와 나침반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위력적이나 취급에는 다소의 지식과 숙련된 사용법을 익힐 필요가 있다.양호한 조건 하에서 대부분의 고도계는 +_30 m의 오차가 있다.
6.고어텍스(Gore-tex)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프론계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 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미국의 듀퐁사의 연구원 고어(WL.Gore)가 발명 하여 고어 텍스란 이름이 붙었다. 이의 재질은 수증기는 통과하나 물방울은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한 구멍 을 갖는 다공질의 필름이며 그위에 나이론타트타 등으로 라미네이트 (laminate) 한 것이다. 비옷,텐트,슐라프(Shulaf)등에 사용되며 방수와 통기라는 이율배반적 인 문제를 거의 해결하게 되므로 최근 급속도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수 증기로 인한 불쾌감이 없고 강우나 습기에 대처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 이다.단점이 라면 값이 비싸고 마찰과 열에 약하며,방풍성이 없다.최근에 이보다 나은 재질인 엔트란트(Entrant),마이크로텍스(Microtex) 등이 일 본에서 개발되었다.
7.고체연료
예열용으로 알콜을 갖고 다니는 불편을 덜기 위하여 목정,알콜등을 성 분으로 해서 응결제 등을 혼합하여 응고시킨 연료를 말한다.전에는 깡통 속에 든 반교질의 것이 많았으나 요즈음에 와서는 스틱모양의 것과 튜브 속에 넣은 반교질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 고체연료 그 자체로도 조리는 가능하지만 화력이 약해 인스탄트 식품 등간단한 것이 아니면 안된다.그러므로 석유나 가솔린 버너의 예열용으로 사용된다.
8.공동장비
2인이상으로 등산하는 경우,그 산행을 함께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장 비를 말한다. 개인장비에 대한 말로서 등산하는 개개인이 모두 한결같이 사용하는 성 질의 것이 아니고 전원 혹은 몇사람이 한개 정도 있으면 충분한 것이다. 중요한 것은 천막,그라운드 시트,버너,연료,코펠,물통,로프,보조로프,슬 링,표지기, 무전기,카메라,고도계,온도계,기압계 등이 있다.따라서 단독 등반인 경우 공동,개인 장비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일반적으로 개인 소유의 장비와 산악회,학교산악부 등 단체가 소유하 는 것을 구별하여 공동장비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물품의 성질에 의 해서는 그 소유가 개인 또는 단체로 나뉘어 있어 어느 정도 그러한 구분 이 있을 수도 있지만 본래 소유권의 소재에 관계없이 장비의 사용상의 성 격에서 그것이 공동의 성격을 갖는 것이라면 이는 바로 공동장비일 것이 다.그러므로 공동장비는 개인소유의 것도 있고,공동 소유의 것도 있을 것 이다.
9.나침반(Compass)
산에서 방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운행구. 르네상스의 3대 발명중의 하나라고 하나 중국에서는 늦어도 10세기 송 대에는 사용되고 있었다. 자침은 항상 남북을 가리키며,등산중 지도와 함께 지형을 찾고 방향을 탐지하는데 쓰인다.콤파스의 어원은 화란어의 Kompas이며,우리말로는 나 침반,나침의,지남침 등으로 불리운다.콤파스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 며 독도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미군용 렌즈식과 실바 콤파스 등이 있다.콤파스의 대명사처럼 불리우는 스웨덴제의 실바콤파스는 첼스톰 (Bjorn Kjellst om)이 고안 제작한 이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10.니커바지(Knicker-Knicker bockers)
바지통이 헐렁하며 길이는 무릎까지 내려오며 무릎밑을 벨트나 끈 등으 로 묶는다.니커바지의 이점은 다리의 움직임이 편하다는 것과 겨울철 바 지 밑부분이 젖는 것을 양말을 갈아 신음으로서 대처할 수 있다는 것외 에 암벽등반시 다리와 발놀림이 편하다는 것이다. 원래는 오스트리아나 스위스의 고산지방 사람들이 입었으며,18C 말경부 터유럽 각지에서 사이클 선수나 골퍼간에 유행되었고 등산에도 도입되어 오랫동안 등산복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산과 시내에서 함께 입을 수 있는 보통 긴 레저용 바지에 밀려나고 말았다.
11.등산화
등산용 신발의 총칭. 과거에는 종류가 적어 암릉,종주 등을 모두 하나의 신발로 하였으나 근 래에 와서는 등산장르가 세분화하게 되어서 각각 목적에 맞는 구조를 가 진 신발이 만들어지고 있다. 종류별로 보면 비브람 창의 바닥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제작한 겨울산 등반용인 중등산화(Climbing boots),창의 바닥이 잘 휘어져 프릭션 (friction)이 좋도록 만든 암벽화(Climbing shoes),그 중간 것으로 클레터슈즈(Kletter shoes)가 있는데 본격적인 겨울 등반을 빼놓고는 여 러 계절의 보행은 물론 암벽등반에서도 매우 적합하다. 그외에 2,3중으로된 다중구조의 고산화,보행에 적합한 하이킹용 신발 인 천으로 만든 경등산화(Caravan shoes)가 있다.그러나 가죽보다 방수성 이 뛰어나고 가벼운 프라스틱화의 출현으로 앞으로 겨울 등반이나 고산 에서 이 신발 의 사용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12.랜턴(Lantern)
조명구.일몰 전후에 산행할 경우나 막영시 또는 조난 당했을 때 구조신 호용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장비. 초기에는 텐트안을 밝혀 주는 양초랜턴 이나 석유등을 부르는 말이었는데 요즈음은 손전등,헤드램프,가스램프,전 등 등을 총칭한다. 대표적인 랜턴은 접을 수 있는 금속 케이스에 운모창을 달아 양초를 켜 서 사용하는 집모양의 랜턴이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다. 요즈음은 양초만을 내어 사용하며 이에 따라 수명이 긴 대형 양초를 구입하거나 산행준비를 할 때 직접 만들어 사용한다. 행동중에는 어떤 종류보다도 양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헤드랜턴이 필수적이다.
13.레토르트(Retort)
조리를 미리해 놓은 식품을 진공포장하는 재료를 말한다. 조리한 음식물을 폴리에스텔과 알루미늄을 서로 붙여 만든 포장주머니에 넣어 고압,가열로 살균,진공으로 밀봉하여 공기와 광선을 차단,장기간 식 품을보존할 수 있도록 만든 것. 깡통 용기에 들어 있는 식품에 비해 경 량이므로 운반하기 쉽고,포장 채 단시간 가열을 하면 색과 향,맛이 좋은 음식을 식기를 더럽히지 않고 먹을 수 있어 등산용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는 레토르트 파우치(Retort pouch)나 플렉시블 캔 (Flexible can) 또는 플렉스 팩이라고 부른다.
14.로프(Rope,Seil,corde,corda)
등산용 밧줄,독일어로는 자일. 등반시 안전을 위한 확보,하강에 사용하 는 장비. 로프는 산악인의 상징이라 볼 수 있으며 로프란 뜻의 자일과의 복합어인 자일파티(Seil party)란 등반을 함께하는 구성원을 말한다. 로프의 재질로는 초기에는 마닐라 삼을 꼬아 만든 천연섬유로 된 로프 가 씌여져 왔으나 60년대 이후 각 로프제조회사에서 나일론제품과 테트론 제품의 로프를 개발해 왔고 오늘날에는 나일론으로 만든 로프가 주류를 이룬다. 길이는 40-50m 또는 그 이상,굵기는 직경 9-10mm,11mm가 일반적이다. 제조방법의 차이에따라 꼬아 만든 꼰 로프(Hawser laid)와 짠 로 프(Kernmantel)의 두가지가 있다.꼰 로프는 추락시 충격을 흡수하는 신축 성이 크나 서로 꼬이는 성질이 있어 충격을 받을 때,꼬인 부분이 절단될 가능성이 많은 점 등 단점이 많아 외피를 씌운 짠 로프가 현재 대종을 이 루고 있다. 등반용으로는 주로 11 mm가 사용되며,9 mm는 이중 로프로 쓰이는데 그 외의용도로 쓸 때는 9 mm이하의 것이 사용된다.이중로프를 사용하면 로 프가 많은 카라비나를 지나 갈 때 로프의 유통이 수월하여 어려운 인공등 반을 할 때나 짐을 끌어 올릴 때 유리하다. 로프가 하중에 견디는 표준강도에 대해 국제산악연맹(U.I.A.A.)의 기준 은11 mm는 2,800kg,9 mm는 2,000kg,8 mm는 1,800kg의 하중을 견디는 것 으로 규정하고 있다.로프의 강도는 로프 1 mm당 견디는 킬로파운드 (KP-kilo pound) 로 정하며 국제산악연맹에서 공인한 로프나 카라비나에 는 이것이 표시되어 있다. 로프는 등반시 필수적이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취급에 주의를 해야 한다.특히 예각을 이룬 암각에서 사용할 때는 굴곡을 이룬 각을 크게하거 나의복등을 받혀 로프의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또한 리더가 추락하여 큰 충격을 받은 로프나 2년이상 혹사한 로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장 시간의 태양광선의 노출을 피하고 차의 트렁크속이나 유류곁에 두는 것 은 피해야 한다.또한 사용후나 사용전에는 점검을 통해 이상유무를 꼭 확인하여야한다.
15.막영구
산에서 야영을 할 때 필요한 장비 일체를 총칭하는 말. 막영구에는 텐트,그에 따른 부속품,펀초,플라이,매트리스,캠프지를 고 르 거나 배수구를 팔 때 필요한 삽,설영시 사용하는 눈삽 등이 이에 속한다.
경북향우산악회
'등산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 스틱 사용법 (0) | 2009.08.07 |
---|---|
산행수칙 10포인트 (0) | 2009.08.07 |
등산지도 보는법 (0) | 2009.08.07 |
효과적인 산행법 (0) | 2009.08.07 |
지리산 109개 등산로 (0) | 2009.08.07 |